UEFA 유로 1984/예선

덤프버전 :

파일:나무위키+상위문서.png   상위 문서: UEFA 유로 1984

1. 개요
2. 조 추첨
2.1. 포트 배정
2.2. 추첨 결과
3. 진행 상황
3.1. 조별 리그
3.1.1. 1조
3.1.2. 2조
3.1.3. 3조
3.1.4. 4조
3.1.5. 5조
3.1.6. 6조
3.1.7. 7조


1. 개요[편집]


프랑스에서 개최되는 UEFA 유로 1984 본선에 출전할 8개국 중 개최국 프랑스를 제외한 7개국을 가리는 대회이다.


2. 조 추첨[편집]


1982년 1월 8일 프랑스 파리에서 예선 조 추첨이 열린다. 32개국이 4개국 3개조 + 5개국 4개조 구성으로 예선 조 편성을 받게 된다.


2.1. 포트 배정[편집]


1포트2포트3포트4포트5포트
파일:독일 국기.svg
서독
파일:체코 국기.svg
체코슬로바키아
파일:스코틀랜드 국기.svg
스코틀랜드
파일:스웨덴 국기.svg
스웨덴
파일: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.svg
알바니아
파일:스페인 국기.svg
스페인
파일:오스트리아 국기.svg
오스트리아
파일:북아일랜드 국기.svg
북아일랜드
파일:덴마크 국기.svg
덴마크
파일:몰타 국기.svg
몰타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
이탈리아
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
네덜란드
파일:아일랜드 국기.svg
아일랜드
파일:스위스 국기.svg
스위스
파일:키프로스 국기.svg
키프로스
파일:폴란드 국기(1928–1980).svg
폴란드
파일:소련 국기.svg
소련
파일: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.svg
루마니아
파일:핀란드 국기.svg
핀란드
파일:룩셈부르크 국기.svg
룩셈부르크
파일: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.svg
유고슬라비아
파일:동독 국기.svg
동독
파일:그리스 국기.svg
그리스
파일:튀르키예 국기.svg
터키
파일:잉글랜드 국기.svg
잉글랜드
파일:헝가리 국기.svg
헝가리
파일:포르투갈 국기.svg
포르투갈
파일:노르웨이 국기.svg
노르웨이
파일:벨기에 국기.svg
벨기에
파일:웨일스 국기.svg
웨일스
파일: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(1971–1990).svg
불가리아
파일:아이슬란드 국기.svg
아이슬란드


2.2. 추첨 결과[편집]




3. 진행 상황[편집]



3.1. 조별 리그[편집]



3.1.1. 1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벨기에 국기.svg벨기에6411128+49본선 진출
2파일:스위스 국기.svg스위스622279-26예선 탈락
3파일:동독 국기.svg동독62137705예선 탈락
4파일:스코틀랜드 국기.svg스코틀랜드6123810-24예선 탈락


3.1.2. 2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포르투갈 국기.svg포르투갈6501116+510본선 진출
2파일:소련 국기.svg소련6411112+99예선 탈락
3파일:폴란드 국기(1928–1980).svg폴란드612369-34예선 탈락
4파일:핀란드 국기.svg핀란드6015314-111예선 탈락

  • 2조 마지막 경기였던 포르투갈과 소련의 경기에서 포르투갈의 후이 조르당 선수가 전반 44분 PK를 성공시켜 1-0으로 경기가 끝나면서 포르투갈의 사상 첫 출전이라는 기록을 썼다.


3.1.3. 3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덴마크 국기.svg덴마크8611175+1213본선 진출
2파일:잉글랜드 국기.svg잉글랜드8521233+2012예선 탈락
3파일:그리스 국기.svg그리스8323810-28예선 탈락
4파일:헝가리 국기.svg헝가리83141817+17예선 탈락
5파일:룩셈부르크 국기.svg룩셈부르크8008536-310예선 탈락

  • 1964년 출전 이후 20년만에 덴마크가 본선에 진출을 하였다. 잉글랜드는 덴마크에게 1무 1패를[1] 기록한것과 홈에서 그리스와 무득점 무승부로 비긴것이 뼈가 아팠다.


3.1.4. 4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.svg유고슬라비아63211211+18본선 진출
2파일:웨일스 국기.svg웨일스623176+17예선 탈락
3파일: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(1971–1990).svg불가리아621378-15예선 탈락
4파일:노르웨이 국기.svg노르웨이612378-14예선 탈락

  •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의 마지막 경기 2-2 상황에서 류보미르 라다노비치가 추가시간 극적인 골을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. 만약 경기가 무승부로 끝났으면 유고슬라비아가 아닌 웨일스가 본선 진출에 성공했었다.


3.1.5. 5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.svg루마니아852193+612본선 진출
2파일:스웨덴 국기.svg스웨덴8512145+911예선 탈락
3파일:체코 국기.svg체코슬로바키아8341157+810예선 탈락
4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이탈리아8134612-65예선 탈락
5파일:키프로스 국기.svg키프로스8026421-172예선 탈락

  • 1982년 스페인 월드컵 우승국인 이탈리아가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. 팀이 기록한 유일한 1승 마저도 이미 탈락이 확정된 상황에서 마지막 경기인 키프로스와의 경기에서 나온것이였다.


3.1.6. 6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독일 국기.svg서독8512155+1011본선 진출
2파일:북아일랜드 국기.svg북아일랜드851285+311예선 탈락
3파일:오스트리아 국기.svg오스트리아84131510+59예선 탈락
4파일:튀르키예 국기.svg터키83141510+57예선 탈락
5파일: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.svg알바니아8026414-102예선 탈락

  • 서독이 마지막 경기에서 알바니아를 2-1로 간신히 이기며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. 북아일랜드는 서독을 홈앤어웨이 모두 이겼지만 득실에서 뒤지며 아쉽게 탈락했다.[2]


3.1.7. 7조[편집]


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
1파일:스페인 국기.svg스페인8611248+1613본선 진출
2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네덜란드8611226+1613예선 탈락
3파일:아일랜드 국기.svg아일랜드84132010+109예선 탈락
4파일:아이슬란드 국기.svg아이슬란드8116313-103예선 탈락
5파일:몰타 국기.svg몰타8107537-322예선 탈락

  • 스페인과 몰타의 최종전 경기는 전반전이 종료 됐을때만해도 스페인이 3-1로 앞섰는데 후반에만 스페인이 무려 9골을 기록하며 12-1 승리를 거두며 기적적으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.[3] 경기가 끝날 무렵 라파엘 고르디요가 13번째 골을 기록하나 싶었지만 오프사이드 처리 되면서 경기는 12-1로 마무리가 되었다.
  • 몰타의 1-12 대패는 현재까지 몰타 대표팀의 최다 점수차 패배이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-04-30 09:20:19에 나무위키 UEFA 유로 1984/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[1] 덴마크 원정에서는 2-2로 비겼으나 홈에서 0-1로 패배했다.[2] 현재는 승자승 원칙으로 결정하는데, 만약 승자승 원칙이 적용됐다면 북아일랜드가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.[3] 승자승 원칙을 적용했어도 점수에 상관없이 스페인이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이때는 득실로 따졌었다.